종이팩  •

•   우유 

•   두유 

•   간장 

•   쌀 

•   콩 

•   주방세제 

•   세탁세제 

•   손소독제 

•   밀가루 

•   식초 

•   쥬스 

•   샴푸 

•   린스 

•   스킨 

•   토너 

•   로션 

•   고체치약 

•   페인트 

•   물감 

•   물 

•   와인 

•   펫 사료

너무도 많은 제품이 플라스틱 용기에 담기고 있어요. 리필리는 그걸 종이팩으로 대체하려고 해요. 종이팩은 다 쓰면 화장지 등으로 재활용 할 수 있으며 생산과 폐기 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이 플라스틱의 3분의 1 수준입니다.


출처 : thinkstep-anz GWP 100[kg CO2e per package] / AU(호주) 기준

우리나라에서는 왜 아직까지 우유 등의 음료만 종이팩에 담을까요?

누수 현상 발생

실제로 대기업을 포함한 몇몇 기업들은 종이팩에 제품을 담아 생산하도록 시도를 했었답니다. 하지만 모두 실패했어요. 우선 화학물질이 포함된 제품을 종이팩에 담았을 때 새거나 터지면서 안전성, 보관성에 심각한 문제가 생겼습니다.

비싼 대체 비용

기존 플라스틱 용기로 제품생산하는 모든 설비 시스템을 종이팩 용기 시스템으로 바꾸는데 2~3년의 시간과 약 50억원 이상의 비용이 발생하여 변경하기가 어려웠어요.

생산성의 문제

종이팩 제품 기계를 수입해 오더라도 기존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하는 시간과 비용이 종이팩 제품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변경할 이유가 없었죠.

리필리는 이렇게 해결했습니다.

5000번의 테스트

종이팩 재질별로 어떤 화학물질이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는지 온도, 습도, 가압, 중압, 피롤테스트를 통해 제품의 안전성, 보관성을 테스트하고 데이터화했어요. 이를 통해 기업 고객은 맞춤형 성분에 따라 종이팩에 원료를 안전하게 담을 수 있답니다.

새로운 기술

국내 최초로 초음파 종이팩 기계를 개발하여 특허를 출원했어요. 향상된 성능 덕분에 생산 속도는 1.5초에서 1.2초로 개당 20% 빨라졌으며, 기존 열접합 기계 대비 50%의 전력 소모를 줄였어요.

안전한 생산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죠. 열접합을 초음파 접합으로 대체하면서 열화상에 대한 작업 손실 위험 역시 줄어들었어요.
궁금한 게 있나요?
사소한 질문도 괜찮아요.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서울 오피스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12,

프론트원 12층


가산디지털단지 공장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24길 26, 

에이스하이엔드타워클래식 303호